주인공이 허구헌날 싸움박질 하면서 몸을 박살내고 그러지는 않던가요?
총질 칼질하다가 몸에 빵꾸내진 않고요?
주인공을 걱정해주는 고운 마음씨를 가진 당신을 위한 병원입니다.
←스타일1 - 스타일2→
※ 이미지는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.
※ 두 스타일은 한 파일 안에 동봉되어있습니다.




로비, 특히 안내데스크입니다.
카르테나 차트, 커피믹스 등 사무잡기들을 갖다놨습니다.
편의점과 회사 작업을 거치면서 쌓인 소품자료들을 재활용했습니다.


안내데스크에서 본 엘리베이터 로비.


왼쪽 대기의자 위의 문양이 병원 로고입니다.









휴게실입니다.
솔직히 휴게실이라기보단 적적한 대기실 같지만...
이렇게 대기실처럼 의자만 갖다놓은 병원들이 꽤 많은 것 같아 그냥 대기실처럼 꾸몄습니다.
자판기와 코인PC도 있습니다. 이런 곳에 있는 PC가 다 그렇듯 싸구려틱하게 꾸며봤습니다.



복도와 화장실입니다.
내부는 없고 그냥 출입구만 만들어놨습니다. 샤워실도 있지만 출입구가 화장실과 별로 다를 건 없기 때문에 굳이 찍지는 않았습니다.
장애인 화장실 표지판에 폴리곤으로 한땀한땀 새겨진 마크는 ISO표준이 아닌 새로 바뀐 KS표준을 적용했습니다.
여담이지만 장애인 마크 도안을 찾다보니 뉴욕의 장애인 마크도 바뀌었다는 걸 보게 됐는데 뉴욕의 새로운 장애인 마크보다는 새로운 KS표준 마크가 더 예뻐보이더군요. 관심 있으시면 찾아보세요.

비상계단입니다.
비상구 마크도 폴리곤으로 한땀한땀 그린 건데 관심도 못 받고 그냥 묻혀버리긴 좀 아까웠습니다.
어떻게든 눈에 띄게 하고 싶어서 돋보일 수 있게 화면 한구석에 빼꼼 내밀어지도록 한 컷 찍어봤습니다.

병실입니다. 1~6인실까지 총 7종이 준비되어있습니다.
2인실이 소형과 중형으로 2종으로 나뉘어서 6종이 아니고 7종입니다.
창문에는 스크린롤 블라인드도 설치되어있고 길이조절 가능합니다.


레이어로 개인TV와 공용TV를 전환해 배치할 수 있습니다.
공용TV가 개인TV보다 조금 더 크긴 하지만 디자인상 차이는 없습니다.
물론 정신사납다 필요없다 싶으시면 둘 다 뗄 수도 있죠.



격리 커튼입니다. 접힘, 반 폄, 다 폄 3종류로 레이어로 골라넣을 수 있도록 준비되어있습니다.
나는 천표현따위 3D의 힘을 빌리지 않겠다 하시는 분은 다 떼버리고 직접 그려버리셔도 됩니다.
그냥 이런 것도 해놨다 정도는 보여드리고 싶었어요.

병원의 아이덴티티인 병원침대와 보호자침대입니다.
그 어떤 공간이라 해도 이것만 갖다놓으면 일단 그럴싸한 병원처럼 보이는 마법의 소품이죠.
요즘엔 난간이 접히고 돌아가는 등 더 세련된 병원침대도 많이 나온 것 같긴 합니다만 제게는 역시 철창 난간 침대가 제일 익숙한 것 같습니다.
그래도 이것도 나름 너무 싸구려틱한 디자인은 피해보려고 애쓴 결과물입니다.
양 옆 난간과 식탁판이 조작 가능합니다.

침대 머리맡 의료 콘솔입니다. 헤드유닛이라고도 부르나봅니다만 정확한 명칭은 모르겠네요. 알고 계신 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입원해보신 분들도 콘센트 말고는 딱히 용도를 모르실 것 같은데, 간호사 호출기도 달려있고 각종 의료 가스 장비들도 장착해놓을 수 있습니다.
하단에 조명도 달려있고 간호사 호출기 옆에는 환자 정보카드도 넣을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.


제가 입대로 인해 완성하지 못했지만, 수술대와 무영등 및 기타 수술실 장비가 일부 작업되어있습니다.
자세한 사항은 글 하단의 수정 내역을 참조해주세요.
향후 간단히 수술실이 필요하신 경우, 2차 저작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셔서 제 모델링을 이용해 수술실을 꾸미셔도 됩니다.


3월 11일부로 옥상이 추가되었습니다.
이전에는 실내에서만 보기에 멀쩡하면 되겠지 하고 건물 허리 부분만 작업하여,
옥상 부분을 안 만들어놔서 그간 여러 작가분들이 외부를 연출할 때 옥상 부분을 대충 때우는 등 애로사항이 꽃피었는데,
최소한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볼 때만이라도 문제가 없게끔 처리했습니다.

전체구조입니다.
아래는 실제 만화에 적용된 예시입니다. 클릭하면 펼쳐집니다.

(어느정도 노출수위가 있는 그림은 가급적 포함하지 않으려고 해왔습니다만, 그냥 지나치기엔 퀄리티가 상당해서...)



ⓒ 손희준
병실은 분리되어 병원 윗쪽에도 따로 존재합니다. 병원 내부에서 벽에 부딛혀 앵글을 잡기 힘드실 경우 이쪽을 이용해주세요.
이렇게 별도 분리되어있는 병실은 병원 내부에 연결된 병실과 근본적으로 하나인 상태라, 한 쪽이 수정되면 다른 쪽도 수정되니 관리에 주의해주세요.
16.07.02 최초생산
16.08.17 의료카트, 주사기, 링거, 헤드유닛 산소계 추가
16.09.05 수술실 더미데이터 추가(수술대, 수술도구, 무영등, 마취 워크스테이션, 석션 펌프)
☞제가 군에 입대하며 부득이하게 완성하지 못한 수술실의 더미데이터가 포함되어있습니다.
향후 간단히 수술실이 필요하신 경우, 2차 저작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셔서 제 모델링을 이용해 수술실을 꾸미셔도 됩니다.
2차 저작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이쪽을 참고해주세요.
17.05.25 수술실 더미데이터 확장(바리 작가님의 요청, 스크럽 싱크 및 복도, 수술실 벽면의 수납공간 추가)
17.07.27 파스텔 컬러링 적용
17.09.24 환자 애드온 패키지 개발
☞17.09.31까지 병동을 구매한 기존 구매자들에게는 무상 배포하며, 이후로도 계속 지원해드립니다.
17.10.04 컬러링 수정 및 안내데스크 모니터 교체 수정 (4:3 -> 16:9)
18.01.28 스타일 2 추가
18.03.11 원경 추가, 옥상 임시 추가, 동적 구성요소 도입(각 출입문 한정), 라인 컬러링 시범 적용
[box]200000|기간 한정 할인(~11/31),30000[/box]